728x90 개발공부 개발새발131 CI/CD ) CI/CD 가 뭘까 CI/CD개발자가 코드 변경 사항을 중앙 리포지토리에 정기적으로 병합하는 DevOps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CI → 빌드 및 유닛 테스트 단계를 지칭한다. 수정 버전이 커밋 될 때마다. 자동화된 빌드 및 테스트가 트리거된다.CD → 배포 단계를 뜻한다. → 여기에서 첫 번째 화살표 Continous-Intergration 가 CI 단계를 뜻한다.보통 로컬 워크스테이션에 소스 코드가 있음.그걸 Wetson control 시스템으로 커밋한다. (왓슨 제어 시스템 : 소스 코드 관리 시스템)이번엔 Git 을 사용해본당.코드가 SourceControl 단계에서 사용 가능해지면, 자동으로 코드를 빌드하고 단위 테스트를 실행한다.CI 과정을 통해 소스 코드를 빌드하거나 컴파일해 아티팩트를 생성하고 아티팩트를 .. 2024. 5. 10. Network ) 네트워크 연결 네트워크 연결 구분규모와 관리 범위에 따라 구분한다.LAN사용자 내부 네트워크MAN한 도시 정도를 연결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WAN멀리 떨어진 LAN 을 연결해주는 네트워크MAN 은 수 ~ 수십 km 범위의 한 도시를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개념,통신사가 이미 갖고 있는 인프라 기반으로 구축하면 WAN자체 인프라를 통해 네트워크를 구축하면 MAN으로 구분하기도…LAN홈 네트워크와 사무실 네트워크처럼 비교적 소규모의 네트워크, Local Area Network먼 거리를 통신할 필요가 없어 스위치 같은 간단한 장비 사용이더넷 기반 전송 기술 사용관리 범위는 자신이 소유한 건물이나 대지에 직접 구축한 선로로 동작시키는 네트워크라고 보면 됨.WAN먼 거리에 있는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 Wide Area Ne.. 2024. 5. 8. Network ) ISO 7 계층 네트워크 구성홈 네트워크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홈 네트워크구성 - 모뎀, 공유기, 단말 간의 물리적 연결무선 연결 : 무선 랜 카드 무선 신호를 보낼 수 있는 매체(공기)유선 연결 : 유선 랜 카드(이더넷 랜 카드), 랜 케이블(랜선)데이터 센터 네트워크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양한 이중화 기술을 사용해야하고 많은 서버와 서비스가 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높은 통신량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 10G, 25G, 40G, 100G, 400G 같은 고속 이더넷 기술 사용 기존엔 3계층 구성이 일반적그러나 스케일 아웃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등장으로 2계층 구성인 스파인 리프 구조로 변화되었다.스파인 리프 : 서버간 통신이 늘어나는 최근 트래픽 경향을 지원하기 위해 제안됨.프.. 2024. 4. 30. Kubernetes ) Environment 환경 변수deployment.yml 파일에 설정하기apiVersion: apps/v1kind: Deploymentmetadata: name: story-deploymentspec: replicas: 1 selector: matchLabels: app: story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story spec: containers: - name: story image: holidaykang/kub-data-demo:2 env: - name: STORY_FORDER value: 'story'.. 2024. 4. 24. Kubernetes ) Volume kubernetes 의 볼륨쿠버네티스는 볼륨을 컨테이너에 탑재할 수 있다는 사실.다양한 볼륨 유형과 드라이버를 지원함.다른 클라우드 및 호스팅 프로바이더에서도 실행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실제 저장 위치에 매우 유연하다.로컬 볼륨, 클라우드 프로바이더 특정 볼륨 등…도커 볼륨과 비슷하지만 좀 더 강력(?)하다.도커 볼륨 시스템을 활용하지만 더 많은 기능과 옵션이 있다!kubernetes 와 docker 의 볼륨쿠버네티스에 많은 볼륨 유형이 있지만 컨테이너 내부에서 볼륨이 동작하는 방식은 다르지 않다.다만, 컨테이너 외부에 저장되는 방식이 쿠버네티스와 유형이나 드라이버에 따라 다르다.볼륨볼륨은 pod 에 연결되고 pod 별로 다르니까 pod 를 구성하는 위치에 볼륨을 정의해야.. 2024. 4. 24. Kubernetes ) 선언적 접근 방식으로 쿠버네티스 사용해보기 명령적 접근 방식의 단점 명령을 외워야 한다. 반복 명령을 해야 한다. docker run 명령을 일일히 입력해야하는 것처럼.. deployment 구성 파일이 있으면 좋겠다!!!? 쿠버에도 리소스 정의 파일이 있으며, 이용 가능함! 선언적 접근 방식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 apply 명령을 실행하여 클러스터에 적용하려는 구성이 포함된 yml 파일을 가리킨다. 야물 파일을 이용해서 원하는 상태를 정의한다. 구성파일이 변경되어도 쿠버네티스가 변경 사항을 살펴보고 적절한 변경을 수행한다. docker-compose 와 비슷하다! 장점 매번 명령을 다시 입력할 필요가 없고 오류가 덜 발생. 유지 관리가 더 쉽다. 변경해도 반복 필요 없음. 하나만 변경할 수 있고 공유도 매우 쉽다. 동료가 작성한 파일을 보며.. 2024. 4. 22. 이전 1 ··· 5 6 7 8 9 10 11 ··· 2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