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개발공부 개발새발/OS24

OS ) 클러스터형 시스템 클러스터형 시스템 Clustered Systems둘 이상의 독자적 시스템 또는 노드들을 연결하여 구성하는 시스템.저장 장치를 공유.원거리 통신망(LAN) 이나 InfiniBand 같은 고속 상호 연결망으로 연결.클러스터링을 사용하는 이유높은 가용성.클러스터 내의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이 고장나도 서비스를 계속 제공.어떻게 ?시스템에 중복 기능 추가.한 마디로 같은 기능을 하는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추가.남아 있는 하드웨어 수준이 비례해서 서비스를 계속 제공하는 기능 → 우아한 성능 저하단일 구성 요소에 오류가 발생해도 계속 작동할 수 있는 → 결함 허용 시스템장애를 감지, 진단 및 (가능한 경우)수정할 수 있는 기법 필요.비대칭형 클러스터링다른 컴퓨터들이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한 컴퓨터는 긴급.. 2024. 12. 19.
OS ) 입출력 구조 입출력 구조 I/O Structure시스템은 범용 버스(시스템 버스)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여러 장치로 구성된 범용 컴퓨터이다.인터럽트는 소량 데이터 이동에는 좋지만 NVS I/O (보조 기억 장치에서 메모리에 적재하기 위한 입출력)에는 높은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음.→ 이를 위해 DMA (직접 메모리 엑세스) 를 사용한다.DMACPU 의 개입 없이 메모리로부터 자신의 버퍼 장치로 또는 버퍼로부터 메모리로 데이터 블록 전체를 전송하는 방법.DMA 컨트롤러를 통해 이동한다.“블록 전송”이 완료될 때마다 인터럽트가 발생한다.여기서 블록이란, 데이터 묶음(일정 크기의 데이터를 한번에 전송하는 단위)로 이해하면 된다.물론 큰 파일 요청은 여러 블록으로 나눠 처리 될 수도 있다.컴퓨터 시스템 구조단일 처리기.. 2024. 12. 19.
OS ) 저장 장치 저장 장치저장 장치의 주요 차이점속도크기휘발성종류메인 메모리(RAM)재기록 가능.DRAM 반도체 기술로 구현휘발성 (컴퓨터를 끄면 데이터가 휘발 됨)읽기 전용 메모리(EEPROM) 및 펌웨어쓰기 작업이 자주 발생하지 않고 비휘발성.전기적으로 소거 가능.부트 스트랩 프로그램 유지.캐시 메모리캐싱 가능.보조 저장 장치.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HDD)비휘발성 메모리(NVM)플래시 메모리.CD-ROM 또는 Blue-Ray → 3차 저장 장치자기 테이프 → 3차 저장 장치→ 3차 저장 장치 : 자료의 백업 사본을 저장하기 위해 특수 목적으로만 사용하기에 매우 느리고 충분히 큰 장치.특징 (?)메모리가 작고 빠를 수록 CPU 에 더 가까움.메모리가 하는 일모든 형태의 메모리는 바이트 배열을 제공하며 각 바이트는 자.. 2024. 12. 18.
OS ) 인터럽트 인터럽트일반적인 컴퓨터 작업을 생각해보자.입출력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장치 드라이버는 장치 컨트롤러의 적절한 레지스터(각 장치의 레지스터, CPU 레지스터 아님)에 값을 적재.장치 컨트롤러가 레지스터 내용을 검사해서 수행할 작업을 결정.장치 컨트롤러가 장치의 로컬 버퍼로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고, 완료되면 장치 드라이버에게 완료됐음을 알림.읽기 요청이라면 데이터 또는 데이터에 대한 포인터를 반환.쓰기라면 쓰기 완료나 장치 사용중 같은 상태 정보 반환.→ 그런데 어떻게 컨트롤러가 장치 드라이버에게 작업을 완료했다는 사실을 알릴까? : 인터럽트인터럽트하드웨어는 시스템 버스를 통해 CPU 에 신호를 보내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 시스템 버스 : 주요 구성 요소 사이의 주요 통신 경로.인터럽트 발생 시CPU 가 .. 2024. 12. 17.
OS ) 컴퓨터, 운영체제란 무엇인가. 컴퓨터 시스템의 4 요소하드웨어운영체제응용 프로그램사용자하드웨어구성중앙 처리 장치 (CPU)메모리 및 입출력 장치→ 계산용 자원 제공응용 프로그램종류워드 프로세서웹 브라우저컴파일러 등등…→ 사용자의 계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 자원**이 어떻게 사용되어야 하는가를 정의💡 운영체제는 다른 프로그램이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사용자 관점에서의 컴퓨터(운영체제 → 사용자 모드)랩탑, 키보드, 모니터 마우스 등,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에 따라 달라진다. 즉, 사용하려는 **시스템**에 따라 달라진다.시스템은 한 사용자가 자원을 독점하도록 설계 되었다.사용자 관점에서의 운영체제의 목표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에 “최대한의 효율” 을 내는 것.사용의 용이성을 위해 설계되며, 성능에도 약간 신경.. 2024. 12. 9.
OS ) 멀티 코어가 뭡니까? 멀티 코어라는 것은 여러 개의 코어를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예를 들어 쿼드 코어라면, 이론적으로는 최대 네 개의 프로세스가 동시 실행 가능하다는 것!어떻게 가능할까?멀티코어CPU 를 구성하는 “ 처리 장치”가 여러 개라는 뜻.처리 장치?ALU : 산술 연산,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 (계산기)레지스터 : 데이터와 명령어 일시 저장하는 고속 메모리. (프로세스가 올라가면 메모리에서 레지스터로 데이터를 옮겨와서 명령 실행함.)제어 유닛 : 명령어 해석하고 작업이 어떻게 처리될지 제어함. (제어 장치)L1 캐시 : 코어 내부에 있는 제일 빠른 메모리. (캐시)그러면 처리 장치가 여러개라는 뜻은?(ALU, 레지스터, 제어 유닛, L1 캐시) 가 여러 개라는 뜻.램(메모리)은 하나로 돌려 씁니다. ㅎㅎ그래서 .. 2024. 11. 20.
728x90